
안녕하세요.
4월 중반 거래가 시작된 오늘, 시장은 예상대로 약한 강세를 보였습니다. 하지만 상승폭은 크지 않았고, 여전히 조심스러운 분위기였습니다.
⸻
✅ 오늘의 시장 요약
미국 증시는 3대 지수 모두 1% 이내의 상승,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 시장도 약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. 상승세가 제한적이었던 이유는 단 하나, 관세 불확실성 때문입니다.
⸻
1️⃣ 트럼프 정부의 관세 유예, 알고 보니 ‘일시 조치’
주말 사이 트럼프 정부는 반도체 및 전자기기의 상호 관세 유예를 발표했지만, 이는 단순한 면제가 아니라 새로운 관세 체계를 위한 일시적 유예였다는 점이 알려졌습니다.
• 해당 품목들은 무역확장법 영향력 조사 대상으로 지정됨.
• 향후 1개월~1년 내 관세 부과 가능성 존재.
• 시장은 다시 불확실성에 직면했습니다.
⸻
2️⃣ 그러나 관세 충격은 완화될 수 있다
• 기존 상호 관세보다 낮은 10~20% 보편 관세 수준으로 결정될 가능성.
• 애플과 같은 주요 기술주는 2% 이상 상승, 일단 긍정적 해석.
• 증시 전체로도 5,500~5,800포인트까지 추가 반등 여지 존재.
⸻
3️⃣ 금리와 채권 시장의 변수
•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: 고관세 지속 시 인플레 우려, 그러나 보편관세로 갈 경우 연내 금리인하 가능성 언급.
• 채권 시장은 여전히 불안정, 청산 이후 일시적 매수 유입.
• 연준이 직접 채권 매입에 나설 경우 사실상 양적완화(QE)로 전환 가능.
⸻
4️⃣ 달러 약세와 탈미국화
• 달러 인덱스는 여전히 반등 실패
• 이는 미국 자산에 대한 신뢰 저하, 자금이 금으로 이동 중
•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비트코인으로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 매우 큼
⸻
📊 비트코인의 기술적 흐름
• 현재 추세 저항선 돌파 + 50일 이평선 안착 시도 중
• 돌파 시,
• 1차 목표: 8.8만 달러 (200일 이평선)
• 2차 목표: 9.1만 달러 (불 마켓 밴드 하단)
• 단기적으로는 한 차례 조정 가능성도 염두 필요
⸻
🔮 유동성 전망
• 각국의 돈풀기 시작됨:
• 유럽 → 이미 시행 중
• 중국 → 대규모 부양책 준비 중
• 미국 → 올해 중 금리인하 + 양적긴축 종료 예상
• 이는 결국 글로벌 유동성의 대확장을 의미합니다
⸻
✅ 전략적 요약
“관세의 불확실성은 점점 약해지고, 유동성의 흐름은 점점 커지고 있다.
결국 가장 강하게 반응할 자산은 비트코인이다.”
'비트코인 시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은 왜 스테이블코인에 목숨을 걸었을까? – 재무부 보고서가 말해주는 미래 금융의 중심 (4) | 2025.05.03 |
---|---|
[비트코인 시황] 관세와 유동성 사이, 안개 너머에 기다리는 상승의 길 (2025.04.18) (2) | 2025.04.18 |
[비트코인 시황] 관세 불확실성 속 약세장… 그러나 유동성 확대의 길이 열리고 있다 (2025.04.16) (6) | 2025.04.16 |
4월 14일 비트코인 시황 – 관세 뉴스에 흔들리는 시장, 여전히 추세는 유효할까? (6) | 2025.04.14 |
📌 Genius Daily: Bitcoin | 비트코인 데일리 시황 (4월 12일) (0) | 2025.04.12 |